맨위로가기

넬슨 록펠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넬슨 록펠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1908년 메인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존 D. 록펠러 2세의 아들이자 스탠다드 오일 창업자 존 D. 록펠러의 손자이며, 다트머스 대학교를 졸업했다. 록펠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틴 아메리카 담당 국무 차관을 역임했고,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보건교육복지부 차관을 지냈다. 1959년부터 1973년까지 뉴욕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1974년에는 제럴드 포드 대통령에 의해 부통령으로 지명되어 1977년까지 재임했다. 그는 1979년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인주의 정치인 - 에드먼드 머스키
    폴란드계 이민자 출신으로 메인 주지사와 연방 상원의원을 지낸 에드먼드 머스키는 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서 환경 보호와 사회 정의를 옹호했으며, 지미 카터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했고, 상원에서는 환경 문제에 대한 기여로 "미스터 클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메인주의 정치인 - 해니벌 햄린
    해니벌 햄린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서 메인주 하원의원, 미국 하원의원, 미국 상원의원, 메인 주지사를 거쳐 제15대 미국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에 대한 반대 입장을 견지하며 남북 전쟁 시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제럴드 포드 행정부의 각료 - 도널드 럼즈펠드
    도널드 럼즈펠드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포드와 부시 행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역임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지휘했고, '알려진 알려진 것들'이라는 발언과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포로 학대 사건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제럴드 포드 행정부의 각료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1960년 미국 대통령 후보 - 리처드 닉슨
    리처드 닉슨은 제37대 미국 대통령으로, 외교 정책, 워터게이트 사건, 그리고 사임이라는 상반된 유산을 남겼다.
  • 1960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존 F. 케네디
    존 F. 케네디는 미국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이자 최초의 가톨릭 대통령으로,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해군 복무, 상원 의원 활동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으며 쿠바 미사일 위기 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개척지" 정책을 추진했으나 1963년 암살당했다.
넬슨 록펠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넬슨 록펠러의 공식 사진, 1975년
공식 사진, 1975년
출생명넬슨 올드리치 록펠러
출생일1908년 7월 8일
출생지미국 메인주 바 하버
사망일1979년 1월 26일
사망지미국 뉴욕주 뉴욕 시
안장지록펠러 가족 공동묘지, 미국 뉴욕주 슬리피 할로우
정당공화당
배우자메리 토드헌터 클라크 (1930년 결혼, 1962년 이혼)
마가레타 라지 피틀러 (1963년 결혼)
자녀로드먼
스티븐
마이클
마크 포함 7명
부모존 D. 록펠러 2세
애비 올드리치
친척록펠러 가문
학력다트머스 대학교 (AB)
잉크로 쓰여진 필기 서명
서명
공직 경력
제41대 부통령president: 제럴드 포드
임기 시작: 1974년 12월 19일
임기 종료: 1977년 1월 20일
전임: 제럴드 포드
후임: 월터 먼데일
제49대 뉴욕 주지사lieutenant1: 맬컴 윌슨
임기 시작: 1959년 1월 1일
임기 종료: 1973년 12월 18일
전임: W. 에버렐 해리먼
후임: 맬컴 윌슨
초대 보건, 교육 및 복지부 차관president2: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임기 시작: 1953년 6월 11일
임기 종료: 1954년 12월 22일
전임: 직위 신설
후임: 헤럴드 크리스천 헌트
초대 미국 공화국 담당 국무부 차관보president3: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임기 시작: 1944년 12월 20일
임기 종료: 1945년 8월 17일
전임: 직위 신설
후임: 스프루일 브래든

2. 어린 시절

넬슨 올드리치 록펠러는 1908년 7월 8일 메인주 바 하버에서 태어났다. 이날은 그의 부계 조부인 존 D. 록펠러의 생일이기도 했다. 이름은 외할아버지인 넬슨 W. 올드리치 상원의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애칭은 록키(Rocky)였다.

그의 아버지는 금융가이자 자선가인 존 D. 록펠러 2세였고, 어머니는 자선가이자 사교계 명사인 애비 올드리치였다. 넬슨은 6남매 중 셋째이자 차남이었다.

'''넬슨 록펠러의 형제자매'''
관계이름비고
누나애비
존 3세
본인넬슨 록펠러
남동생로렌스
남동생윈throp아칸소 주 지사 역임
남동생데이비드체이스 맨해튼 은행 CEO 역임



그의 부계 조부는 스탠다드 오일의 공동 창업자인 존 D. 록펠러였고, 조모는 교사 로라 스펠먼이었다. 외조부는 공화당 소속의 넬슨 W. 올드리치 상원의원(로드아일랜드 주 선출)이었고, 외조모는 애비게일 P. 그린이었다. 그의 조카로는 민주당 소속으로 웨스트버지니아 주 상원의원을 지낸 제이 록펠러가 있으며, 사촌으로는 영화감독 로버트 올드리치가 있다.

록펠러는 뉴욕 시의 가족 저택(주로 웨스트 54번가 10번지), 뉴욕주 포캔티코 힐스의 시골집, 메인주 실 하버의 별장 등에서 성장했다.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운영하고 록펠러 가문이 자금을 지원한 실험 학교인 맨해튼의 링컨 스쿨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을 받았다. 어릴 적 그는 형제들 사이에서 리더 역할을 했으며, 특히 남동생 로렌스와 가까웠다.

학창 시절 록펠러는 독서 능력이 부족했고 학업 성취도도 낮았다. 성적은 학급에서 하위권에 머물렀으며, 진단되지 않은 난독증을 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기 작가 조셉 E. 페르시코는 그가 "평생 동안 재능을 대신하여 그에게 도움이 될 규율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프린스턴 대학교 입학에는 실패했지만, 노력 끝에 1926년 다트머스 칼리지에 입학했다.

다트머스 재학 중 메인주의 별장에서 메리 토드헌터 클라크를 만나 교제했으며, 1929년 가을에 약혼했다. 1930년 다트머스 칼리지에서 경제학 문학사 학위를 ''우등''으로 졸업했다. 대학 시절 그는 프시 웁실론(Psi Upsilon) 친목회, 다트머스 합창단, 캐스크 앤 개틀릿(Cask and Gauntlet, 선임 협회), 파이 베타 카파(Phi Beta Kappa)의 회원이었다. 졸업 직후인 1930년 6월 23일, 펜실베이니아주 발라 시니위드에서 메리 토드헌터 클라크와 결혼했다.

3. 정치 경력

미주 정세국의 조정자 시절 (1940년)


다트머스 대학교 졸업 후, 넬슨 록펠러는 체이스 내셔널 은행, 록펠러 센터, 베네수엘라의 크레올 석유 회사 등 여러 가족 관련 사업체에서 경력을 쌓았다.[5] 특히 크레올 석유 회사에서의 근무는 그가 라틴 아메리카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스페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만들었다.[7] 또한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군 보건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공공 서비스 경험을 쌓았다.[6]

1940년, 라틴 아메리카 내 나치의 영향력 확산을 우려한 록펠러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이 문제를 제기했고, 루스벨트는 그를 신설된 미주 업무 조정관실(OCIAA)의 조정관으로 임명했다.[8] 록펠러는 OCIAA를 통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경제 및 문화 협력을 증진하고, 생활 수준 향상을 지원하며, 나치의 선전에 대응하는 임무를 수행했다.[9] 그는 CBS 라디오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문화 외교를 적극 활용했으며,[10] 할리우드 영화 제작에도 관여하여 라틴 아메리카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내용을 담도록 유도했다.[11] 또한, 주니어 챔버 인터내셔널 설립의 기반이 된 범미 의회 개최를 지원했으며, 아버지 존 D. 록펠러 2세를 설득하여 훗날 국제 연합 본부 부지가 될 땅을 뉴욕 시에 기증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6][13]

1954년 보건 교육 복지부 차관 시절, 공공/민간 건강 재보험 프로그램에 대해 발표하는 록펠러


1944년, 록펠러는 미주 담당 국무 차관으로 임명되어 차풀테펙 협정 체결을 이끌었다. 이 협정은 미주 국가 간 상호 방위 및 협력의 틀을 마련했으며, 록펠러는 미국 대표로 서명했다.[14] 그는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미국 대표단으로 참여하여 국제 연합(UN) 창설에 기여했으며, UN 헌장 내에서 차풀테펙 협정과 같은 지역 협정의 존재를 인정받도록 노력했다.[15]

루스벨트 사후 해리 S. 트루먼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록펠러는 국무부에서 해임되었고 OCIAA도 폐쇄되었다.[17][18] 워싱턴에서의 영향력이 약화되자 그는 뉴욕으로 돌아와[19] 1947년 국제 기초 경제 공사(IBEC)를 설립하여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는 사업을 이어갔다.[20] 1950년, 트루먼 대통령은 그를 국제 개발 자문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하여 포인트 포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도록 했다.[22]

1952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록펠러는 다시 연방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는 대통령 정부 조직 자문 위원회 의장으로서 연방 정부 구조 개편을 주도했으며, 그의 권고로 미국 보건복지부(HEW)가 신설되었다.[23] 록펠러는 1953년 HEW의 초대 차관으로 임명되어 사회 보장 프로그램 확대 등 주요 정책을 추진했다.[23]

1954년에는 외교 및 심리전 담당 대통령 특별 보좌관으로 임명되어 냉전 시기 소련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개발에 참여했다.[23] 그는 미국 국가 안보 회의(NSC) 산하 작전 조정 위원회(OCB)의 대통령 대표로서 활동하며 대외 경제 원조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나, 보수적인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 등과의 의견 차이로 많은 계획이 좌절되기도 했다. 이 시기 그는 버지니아주 콴티코에서 열린 회의를 통해 소련과의 상호 공중 정찰을 제안하는 "항공자유권(Open Skies)" 구상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당시 하버드 대학교 교수였던 헨리 키신저가 제안한 아이디어였다. 이는 록펠러와 키신저 간의 오랜 협력 관계의 시작이 되었다.[23] 록펠러는 또한 비밀 작전을 포함한 국가 안보 작전을 조율하기 위한 기획 조정 그룹(PCG) 창설을 제안했으나 이 역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1955년 말 특별 보좌관직에서 사임했다.

사임 후에도 록펠러는 록펠러 형제 재단의 지원을 받아 특별 연구 프로젝트를 조직하고 키신저를 책임자로 임명하여 미국의 국가적 과제와 미래 전략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이 프로젝트의 군사 분야 보고서는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미국의 군비 증강 필요성을 강조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고, 아이젠하워 대통령도 이를 지지했다.

1956년 연방 정부 직책에서 완전히 물러난 록펠러는 뉴욕 주 정치에 집중하여 1958년 주지사 선거에 출마, 당선되었다. 이후 그는 15년간 뉴욕 주지사를 역임하며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고, 1960년, 1964년, 1968년 세 차례에 걸쳐 공화당 대통령 후보 지명에 도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1974년에는 제럴드 포드 대통령에 의해 미국 부통령으로 지명되어 1977년까지 재임했다. 그의 주지사 시절 활동, 대통령 선거 도전, 부통령 재임 기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뉴욕주지사

1968년 린든 B. 존슨 대통령과 만나는 록펠러 주지사


록펠러는 1956년 연방 정부 직책에서 물러나 자신이 여러 역할을 맡았던 뉴욕주 정치에 집중하기 시작했다.[33] 1956년 9월부터 1958년 4월까지는 헌법 회의 임시 주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34] 이후 헌법 개정 및 단순화 특별 입법 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34] 1958년 뉴욕 주지사 선거에서 그는 57만 표 이상의 큰 표 차이로 현직 주지사이자 역시 백만장자였던 W. 애버럴 해리먼을 꺾고 당선되었다. 이는 그 해 미국 전역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둔 상황 속에서 거둔 이례적인 승리였다.[35] 록펠러의 사치는 그의 전임자를 능가했으며, 취임 축하 행사와 개인 리무진 관련 일화는 그의 부유함을 보여준다.



그의 취임 축하를 위하여 넬슨은 뉴욕발레단을 주병 부대 본부에서 열리는 취임 무도회에 상연시키기 위해 올버니로 데려왔다. 그가 상을 받기 위해 주도로 갈 준비를 하면서, 그는 광택이 나는 링컨 리무진을 샀다. 그는 그 차에 번호판 '1'을 달도록 지시했다. 그의 운전사가 주의 차량국에서 돌아와 '지사님, 차량국에서는 개인 소유 차량에는 번호 1을 달 수 없다고 합니다.'라고 말했다. 넬슨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링컨 리무진을 주에 기증했고, 관료들은 신속하게 번호판 1을 달아 주지사에게 차를 배정했다.



록펠러는 1959년부터 1973년까지 15년간 뉴욕 주지사를 지냈으며, 1962년, 1966년, 1970년 선거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4선에 성공했다. 주지사 재임 기간 동안 그는 교육, 환경 보호, 교통, 주택, 복지, 의료 지원, 민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의 역할을 크게 확대했다. 이러한 정책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그는 세금을 인상했는데, 대표적으로 1965년 뉴욕주에 판매세가 도입되었다.[7] 그는 네 번째 임기 3년 차인 1973년 12월에 주지사직을 사임하고 미국을 위한 중대한 선택 위원회(Commission on Critical Choices for Americans) 활동에 전념했다.[36][44] 이 위원회는 국내외 정책에 대한 민간 연구 프로젝트로, 록펠러는 부통령으로 취임한 후에도 위원장직을 유지하며 1975년 2월 28일까지 활동했다.[45]
주요 정책 및 활동

  • 마약 정책: 록펠러는 마약 중독과 관련된 범죄 급증에 대처하기 위해 강력한 정책을 추진했다. 1962년에는 중독자들을 위한 자발적 재활 프로그램을 제안했으나,[59] 효과가 미미하자 1966년부터는 3년간의 강제 치료, 재활 및 사후 관리 프로그램으로 전환했다. 이 프로그램 역시 마약 거래 및 관련 범죄 감소에는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59] 연방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과 기존 법 집행의 한계에 불만을 느낀 록펠러는 유권자들의 압력 속에서 1973년, 강경한 내용의 "록펠러 마약법" 제정을 주도했다. 이 법은 특정 마약 소지 및 판매, 관련 폭력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에게 감형이나 가석방 없는 의무적인 종신형을 부과하고, 마약 판매상 검거 정보 제공자에게 1000USD의 포상금을 지급하며, 청소년 범죄자에 대한 감경 처벌 규정을 폐지하는 등 매우 엄격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59] 이 법은 당시 미국에서 가장 강력한 마약법으로 평가받았으며,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지만 마약 문제에 대한 그의 단호한 입장을 보여주었다. 이 법들은 이후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뉴욕주 법률의 일부로 남아있다.[59] 그는 또한 주 마약 중독 통제 위원회(이후 주 마약 남용 통제 위원회)를 설립하고, 미국 최대 규모의 메사돈 유지 요법 프로그램 운영 및 연구를 재정적으로 지원했다.[50]

  • 애티카 교도소 폭동 진압 (1971년): 1971년 9월 9일, 뉴욕주 애티카 교도소에서 수감자들이 교도관 39명을 인질로 잡고 폭동을 일으켰다. 4일간의 협상 끝에 교정 당국은 수감자들의 요구 대부분을 수용했지만, 폭동 가담자 완전 사면, 국외 망명 허용, 교도소장 해임 등 핵심 요구는 거부했다.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고 인질들의 안전이 위협받자, 록펠러는 9월 13일 뉴욕 주 경찰과 주 방위군 투입을 명령하여 교도소를 강제로 탈환했다. 이 진압 과정에서 인질 10명(이 중 9명은 진압군의 총격으로 사망)을 포함해 총 39명이 사망하고 80명 이상이 부상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56] 이후 조사 결과, 사망자 대부분은 진압군의 총격으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록펠러가 직접 교도소에 가서 수감자들과 협상하는 것을 거부한 점 때문에 그에게 참사의 책임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나, 보수주의자들을 포함한 그의 지지자들은 법과 질서 유지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옹호했다. 록펠러 자신은 "인질과 수감자들을 구하고, 질서를 회복하며, 이 나라 전체에 퍼질 수 있는 선례를 만들지 않으면서 우리의 시스템을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주장했다.[57] 닉슨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는 사망자 발생에 대해 "그게 인생이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58]


엠파이어 스테이트 플라자

  •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록펠러는 뉴욕주 전역에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일부 비판자들로부터 "건축광(edifice complex)"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40] 그는 뉴욕 주립대학교(SUNY) 시스템을 미국 최대 규모의 공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확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롱아일랜드 고속도로, 사우던 티어 고속도로, 애디론댁 노스웨이, 주간고속도로 81호선 등 총 약 35405.48km에 달하는 주요 고속도로 건설 및 확장을 주도하여 도로 교통망을 크게 개선했다.[68] 저소득층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그는 지방 정부의 지역 지구제 규정을 무시하고 토지 수용권을 행사하며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가진 뉴욕 주 도시 개발 공사(UDC, 현 엠파이어 스테이트 개발 공사)를 설립했다. UDC는 일명 "도덕적 의무(moral obligation)"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는 주의 신용으로 보증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주 정부가 실패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을 주었다. 이 방식은 "대마불사" 현상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63] UDC는 1973년까지 88,000채 이상의 저소득층 및 노인 주택을 완공하거나 착공했다.[64] 그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20억달러가 투입된 98acre 규모의 올버니 사우스 몰(South Mall)이 있으며, 이곳은 1978년 넬슨 A. 록펠러 엠파이어 스테이트 플라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단지는 주 청사와 공공 광장, 독특한 달걀 모양의 예술 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40] 그는 또한 세계 무역 센터[41]와 할렘의 아담 클레이턴 파월 주니어 주립 사무소 건설도 지원했다.

  • 교육: 록펠러는 뉴욕 주립 대학교(SUNY) 시스템 확장에 큰 힘을 쏟았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SUNY는 29개 캠퍼스, 3만 8천 명의 전임 학생 규모에서 72개 캠퍼스, 23만 2천 명의 전임 학생 규모로 성장했다. 그는 사립 버팔로 대학교를 SUNY 시스템에 편입시켜 현재 뉴욕 최대의 공립 대학인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를 탄생시켰다.[60][61] 또한 1971년에는 시간, 장소 등의 제약 없이 성인들이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엠파이어 주립 칼리지를 설립했다. 이 외에도 초·중등 학교에 대한 주 정부 지원을 4배 이상 늘리고, 교육 텔레비전에 대한 주 정부 차원의 재정 지원을 최초로 시작했으며, 공립학교에서 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 교육을 의무화했다.[62]

  • 환경 보호: 록펠러는 뉴욕주 공원 시스템 확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유권자들을 설득하여 공원 및 산림 보존 토지 확보를 위해 세 차례에 걸쳐 총 3억달러 이상의 채권 발행을 승인받았고,[46] 이를 통해 55개의 새로운 주립 공원을 건설하거나 조성을 시작했다.[47] 그는 도시 스롤 문제와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1968년 애디론댁 지역의 미래에 대한 임시 연구 위원회를 임명했다. 이 위원회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는 1971년 논란 속에서 애디론댁 공원청 설립 법안을 통과시켜 애디론댁 주립 공원의 난개발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48] 또한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퓨어 워터스 프로그램(Pure Waters Program)'을 시작하고, 환경 보존부를 창설했으며, DDT와 같은 유해 살충제 사용을 금지하고,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사무국을 설립하는 등 환경 보호에 적극적인 정책을 펼쳤다.[49] 그는 또한 허드슨 리버 학교 화가 프레데릭 에드윈 처치의 저택인 올라나 주립 역사 유적지를 주립 역사 유적지로 지정하는 법안을 지지했다.[39]


1959년 노동절 퍼레이드에서 노동 지도자 데이비드 두빈스키, 로버트 F. 와그너 주니어 시장, 스펠만 추기경과 함께한 록펠러

  • 교통 시스템 개혁: 록펠러는 뉴욕주의 교통 시스템 관리 체계를 개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5년 그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운송 기관(MTA)를 창설하여 뉴욕시 지하철(New York City Transit Authority) 시스템, 공공 소유의 트라이보로 다리와 터널 당국, 그리고 공적 자금으로 인수한 롱아일랜드 철도, 스태튼아일랜드 철도, 이후 메트로노스 철도가 될 노선 및 MTA 버스 회사(파산한 민간 버스 회사 인수) 등을 통합 관리하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수십 년간 뉴욕의 공공 기반 시설을 장악했던 로버트 모지스로부터 트라이보로 당국의 통제권을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새로운 도로 건설에 주로 사용되던 다리와 터널의 통행료 수입을 대중교통 운영 지원에 사용하도록 하여, 비용 부담을 일반 주 기금에서 운전자에게 일부 이전시켰다. 그는 또한 주 교통부를 신설하고, 주 최초로 대중교통 운영 지원 정책을 도입했다. 1973년에는 환경 문제와 지역 사회 반대로 인해 모지스가 추진했던 롱아일랜드 사운드 다리 건설 계획을 포기하기도 했다.

  • 민권 및 복지 증진: 록펠러는 주택 및 공공시설에서의 차별을 사실상 전면 금지했으며, 성별이나 나이를 이유로 한 고용 차별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주 정부 내 흑인 및 히스패닉계 공무원 수가 약 50% 증가했으며, 역대 가장 많은 수의 여성을 주 정부 기관장으로 임명했다. 또한 교육, 고용, 주택, 신용 등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최초로 여성을 주 경찰에 임용했으며, 주 정부 차원의 적극적 차별 철폐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는 미국 헌법 평등권 수정안(Equal Rights Amendment)의 뉴욕주 비준을 지지했으며, 인종 차별적 부동산 투기 수법인 "블록버스터"와 모든 형태의 보험 판매 차별을 금지했다. 복지 분야에서는 메디케이드를 통해 미국 최대 규모의 빈곤층 의료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했으며,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뉴욕주의 복지 수혜자 수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취업 가능한 복지 수혜자에게 일자리나 직업 훈련을 의무화하고,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주 정부 차원의 아침 식사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비영리 단체의 보육 시설 설립을 지원하기 위한 최초의 주 정부 대출 기금을 마련했다.[68] 그는 보편적 의료 보장 지지자로서 관련 법안의 컨설턴트로 활동하기도 했다.[69][70][71]

  • 노동 및 기타: 록펠러는 입법부 및 노동조합과 협력하여 교사, 소방관, 경찰관 등 공무원들을 위한 연금 제도를 마련했다. 그는 미국 최초의 주 단위 최저 임금 법안을 제안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다섯 차례 인상되었다. 또한 주 복권과 경마장 외 베팅을 도입하고, 주립 정신 병원의 치료 방식을 현대화했으며, 노인들을 위한 주 노인 사무소를 창설하고 약 12,000 가구의 노인 주택을 건설했다. 미국 최초의 의무 안전벨트 법과 주 소비자 보호 위원회 창설 역시 그의 업적이다.[65]

  • 법과 질서: 록펠러는 주지사 재임 15년 동안 주 경찰 규모를 두 배로 늘리고, 뉴욕주 경찰학교를 설립했으며, 경찰 권한 강화를 위해 "불심 검문"과 "무영장" 법을 채택했다. 또한 법원 혼잡 해소를 위해 228개의 주 판사 직책을 추가했다.[50] 그는 사형 지지자였으며, 주지사로서 14건의 전기의자 처형을 감독했다.[52] 1963년 에디 메이스의 처형은 뉴욕주에서 집행된 마지막 사형이자, 퍼먼 대 조지아 판결 이전 북동부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집행된 사형이었다.[53] 사형에 대한 개인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그는 1965년 경찰관 살해 사건을 제외하고 사형 제도를 폐지하는 법안에 서명했다.[54]

  • 낙태법: 록펠러는 1968년경부터 뉴욕의 낙태법 개정을 지지했다. 처음에는 금지 조항 폐지보다는 예외 조항 확대를 추진했으나, 1970년 금지 조항의 전면 폐지 법안이 통과되자 이에 서명했다. 1972년에는 낙태 금지를 복원하려는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며 "한 집단이 전체 사회에 자신의 도덕적 관점을 강요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37]

정치적 성향 및 평가 ("록펠러 공화당원")록펠러는 특정 이념에 얽매이기보다는 문제 해결에 실용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로버트 코너리와 제럴드 벤자민은 그를 "엄격하게 자유주의적이거나 엄격하게 보수주의적인 노선을 따르기보다는, 문제를 정의하고 입법화에 충분한 지지를 모을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데 훨씬 더 관심이 있는 실용적인 문제 해결사"로 평가했다.[101] 그의 정책은 일관된 이념 노선을 따르지 않았는데, 초기 재정 정책은 보수적이었으나 후기로 갈수록 사회 프로그램과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진보적인 면모를 보였다.[101]

이러한 성향 때문에 그는 배리 골드워터로널드 레이건과 같은 공화당 내 보수주의자들과 대립했다. 특히 그의 대규모 정부 지출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전임 공화당 주지사 토머스 E. 듀이보다 훨씬 많은 예산을 사용했으며,[102][103] 주의 사회 기반 시설 확장, 뉴욕 주립 대학교 시스템 확대 등 교육 지출 증대, 환경 문제에 대한 주 정부 역할 강화 등을 추진했다. 외교적으로는 국제 연합 참여와 대외 원조를 지지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강경한 입장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 자격을 지지했다. 그의 정책에 반발한 일부 보수주의자들은 뉴욕 보수당을 창당하기도 했다.[104]

록펠러에 대한 가장 흔한 비판은 그가 너무 많은 것을 너무 빨리 추진하려 했고, 이로 인해 주 부채 수준이 크게 증가하여 1975년 뉴욕의 재정 위기에 기여했다는 점이다.[105] 그는 도시 개발 공사(UDC)와 같은 공익 기구(public authority)를 약 230개 설립했는데, 이 기구들은 종종 채권 발행에 대한 주민 투표 요건을 회피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채권들은 주 정부가 직접 발행한 채권보다 높은 이자를 부담해야 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뉴욕주의 예산은 1959-1960년 20.4억달러에서 1973-1974년 88억달러로 급증했다. 그는 재임 15년 동안 8번의 증세를 단행했으며,[106] 뉴욕주의 세금 부담은 다른 어떤 주보다 높아졌고, 특히 개인 납세자의 부담이 커졌다.[107] 그의 지출 정책이 당시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던 경제 쇠퇴에 기여했는지, 아니면 더 심각한 악화를 막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3. 2. 대통령 선거 운동

1968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위한 운동을 벌이는 록펠러


록펠러는 미국 대통령직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를 위해 1960년, 1964년, 1968년 세 차례에 걸쳐 공화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얻기 위해 막대한 개인 재산을 사용했다.

1960년 경선에서는 당시 부통령이었던 리처드 닉슨이 여론 조사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자 일찌감치 출마를 포기했다. 선거 운동을 중단한 후 록펠러는 닉슨을 지지했으며, 닉슨의 공약에 보다 온건한 입장을 반영시키기 위해 노력하여 제5번가 조약이라는 부분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1964년 경선에서는 공화당 내 동부 기득권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유력한 후보로 출발했다. 당시 닉슨은 1962년 캘리포니아주지사 선거에서 팻 브라운에게 패배한 후 출마를 거절한 상태였다. 록펠러의 주요 경쟁자는 애리조나주 출신의 보수적인 상원의원 배리 골드워터였는데, 그는 미국 공화당의 보수파를 이끌고 있었다.[72][73] 그러나 1963년, 록펠러가 첫 부인과 이혼한 지 1년 만에 역시 이혼 경력이 있고 네 자녀를 둔 마가레타 "해피" 머피와 재혼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공화당 지지자, 특히 기혼 여성들의 반감을 샀다. 그의 이혼과 재혼은 코네티컷주 상원의원 프레스콧 부시를 포함한 여러 정치인들에게 불륜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록펠러는 3월 뉴햄프셔 예비 선거에서 인접한 매사추세츠주 출신의 기명 후보 헨리 캐벗 로지 2세와 골드워터에 이어 3위에 그쳤다. 이후 몇 차례의 당내 경선에서도 부진했으나, 5월 오리건 예비 선거에서는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두었다. 록펠러는 캘리포니아 예비 선거를 앞두고 여론 조사에서 우위를 보였고, 그의 선거 캠프는 승리를 확신하여 선거 운동 막바지에 광고 예산을 삭감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예비 선거 3일 전, 록펠러의 아들이 태어나면서 그의 이혼 및 재혼 문제가 다시 유권자들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결국 록펠러는 캘리포니아 예비 선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고 경선에서 사퇴했다. 1964년 캘리포니아 예비 선거 운동 중 실망스러운 상황에서 그의 최고 정치 보좌관 스튜어트 스펜서는 록펠러에게 "동부 기득권"으로 상징되는 부와 영향력, 그리고 거만함의 이미지를 활용하라고 조언했다. 이에 록펠러는 "친구, 자네가 바로 그걸 보고 있네. 내가 바로 그 남은 전부일세."라고 답했다고 전해진다.[74] 록펠러의 말은 과장이었지만, 그의 당내 기반 약화는 실제로 진행 중이었다.[75] 당시 많은 록펠러 지지자들은 펜실베이니아주지사 윌리엄 스크랜턴을 중심으로 "골드워터만 아니면 누구든 좋다"는 운동을 벌였으나, 1964년 공화당 내에서 거세지던 보수주의 흐름을 꺾지는 못했다. 7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록펠러는 미국 공화당의 온건파가 제출한 당 강령 수정안 5개를 지지하고 골드워터의 강령에 반대하는 연설을 할 기회를 얻었다.[76] 그는 연단에서 16분간 연설하는 동안 골드워터 지지자들의 야유와 조롱을 견뎌내야 했다.[77] 골드워터 지지자들은 야유가 방청석에서 나왔다고 주장했다. 록펠러는 본선거에서 골드워터를 지지하는 것을 꺼렸다.[78] 록펠러의 유세 연설에는 "하느님의 아버지 아래 인류의 형제애(Brotherhood of Man Under the Fatherhood of God)"라는 문구가 자주 등장했는데, 이를 취재하던 기자들은 머리글자를 따 'BOMFOG'라고 줄여 불렀다.[79] 1964년 경선은 서부 기반의 보수파 골드워터가 동부 기반의 온건파 록펠러를 누르면서, 공화당의 주도권이 동부 온건파에서 서부(이후 남부 포함) 보수파로 넘어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1968년 경선에서 록펠러는 다시 한번 대권에 도전했다. 경쟁자는 부활한 리처드 닉슨캘리포니아주지사 로널드 레이건이었다. 이 경선 구도는 자유주의 성향의 록펠러, 보수주의 성향의 레이건, 그리고 중도 및 보수 성향의 닉슨 간의 대결로 요약될 수 있다. 당초 록펠러는 불출마를 선언하고 조지 롬니 미시간주지사를 지지했으나, 킹 목사 암살 사건을 계기로 출마를 결심했다. 그는 여론 조사에서 민주당 후보 휴버트 험프리를 상대로 닉슨이나 레이건보다 높은 지지율을 보인다는 점을 내세워, 아직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거나 닉슨에게 실망한 대의원들을 포섭하려 했다. 그러나 닉슨의 뛰어난 조직력과 이전보다 온건해진 보수 노선은 4년 전 골드워터와 달리 전국적인 거부감을 줄였고, 많은 골드워터 지지자들까지 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록펠러는 닉슨의 조직력을 넘어서지 못하고 결국 패배했다.[80] 베트남 전쟁과 관련하여, 당시 많은 후보들이 반전과 즉각 철수를 주장했지만, 반공주의자였던 록펠러는 전쟁 반대를 명확히 표명하지 않고 북베트남,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과의 협상을 주장하는 데 그쳤다. 1968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는 그의 동생 윈스롭 록펠러도 "좋아하는 아들(favorite son)" 후보로서 아칸소주 대표단의 지지를 받아 18표를 얻었으나, 닉슨이 1차 투표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되었다. 이 1968년 경선은 록펠러의 마지막 대통령 선거 도전이 되었다.

록펠러 (앞줄 왼쪽에서 5번째) 1976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왼쪽부터) 로버트 돌, 낸시 레이건, 로널드 레이건, 제럴드 포드 대통령, 수잔 포드 및 베티 포드와 함께.


1976년, 제럴드 포드 대통령은 로널드 레이건의 도전을 예상하며 부통령 후보 교체를 고려했고, 록펠러는 1975년 11월 부통령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포드는 결국 이를 수락하고 캔자스주 상원의원 밥 돌을 러닝메이트로 선택했다. 포드는 훗날 록펠러를 교체한 것이 자신의 가장 큰 실수 중 하나이자 "내 인생에서 몇 안 되는 비겁한 행동 중 하나"였다고 회고했다.[97][98] 록펠러는 197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선거 운동을 벌였으나, 선거는 민주당의 지미 카터가 승리했다. 이 선거 운동 기간 중 뉴욕주 빙햄턴 유세에서 야유하는 청중에게 록펠러가 가운데 손가락을 치켜세운 것으로 보이는 사진이 찍혀 논란이 되었다.[99] 록펠러의 전 보좌관 말콤 윌슨은 록펠러가 누군가에게 손짓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을 잘못 놀린 것"이라고 해명했지만[100], 정치 평론가들은 이를 믿지 않았다. 록펠러 캠프는 이 제스처가 오히려 일부 공화당원들에게 호응을 얻자 더 이상 부인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스캔들로 여겨졌던 이 행동은 훗날 "록펠러 제스처"라는 완곡한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99]

3. 3. 부통령 재임

1975년 1월 3일 헨리 키신저 국무 장관과 함께 있는 록펠러 부통령 (오른쪽)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사임하고 제럴드 포드가 대통령직을 승계한 후, 포드는 1974년 8월 20일 록펠러를 제41대 미국 부통령으로 지명했다.[82] 포드는 록펠러의 오랜 행정 경험과 노동자,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 등 전통적인 공화당 지지층 외의 유권자들에게도 소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1976년 선거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83] 록펠러는 "헌법적 위기와 미국 국민의 신뢰 위기" 상황에서 민주주의 과정과 정부의 청렴성에 대한 신뢰 회복에 기여하고자 지명을 수락했다.[86]

그러나 록펠러의 부통령 인준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의회 청문회에서는 그가 헨리 키신저와 같은 고위 보좌관들에게 거액의 선물을 제공하고,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아서 골드버그에 대한 비판적인 전기의 출판을 재정적으로 지원한 사실 등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87] 또한 연방 소득세 납부와 관련하여 논쟁적인 공제 혜택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결국 약 100만달러를 추가로 납부하기로 합의했으나 불법 행위는 확인되지 않았다. 공화당 내 배리 골드워터, 제시 헬름스와 같은 보수파 의원들과[88] 전미 생명 옹호 위원회, 미국 보수 연합 등 보수 단체들은 록펠러의 지명에 강력히 반대했다.[89] 일부 진보 진영에서도 그의 막대한 부가 가져올 이해 상충 문제를 지적하며 반대 목소리를 냈다.[90]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미국 상원은 1974년 12월 10일 90대 7로,[91] 미국 하원은 12월 19일 287대 128로 그의 인준을 최종 승인했다.[91]

록펠러는 1974년 12월 19일 공식 취임했으며, 미국 헌법 수정 제25조에 따라 임명된 두 번째 부통령이 되었다 (첫 번째는 포드 자신이었다). 포드는 당초 록펠러를 국내 정책 분야에서 "완전한 파트너"로 삼겠다고 약속했으나,[85] 실제로는 도널드 럼즈펠드 백악관 비서실장 등 포드의 참모진과의 권력 갈등 및 견제로 인해 그의 역할은 크게 제한되었다.[92] 록펠러가 의장을 맡기로 했던 미국 국내 정책 위원회는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지 못했으며 예산마저 삭감되었다. 그는 연방 세금 및 지출 삭감과 같은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배제되기도 했고, 이에 대해 "대통령이 내린 가장 중요한 결정인데, 나와는 상의도 하지 않았다"며 실망감을 표현하기도 했다.[93] 포드는 그에게 대외 정책 수행을 위한 정부 조직 위원회, 미국 내 CIA 활동 위원회, 전국 생산성 위원회, 연방 보상 위원회, 개인 정보 보호 권리 위원회의 위원장직을 맡겼다.

록펠러의 부통령 재임 기간 중 미국 해군 천문대 부지 내의 원 옵저버토리 서클이 공식 부통령 관저로 지정되었다. 이전까지 부통령들은 자비로 거주지를 마련해야 했으나, 강화된 보안 필요성으로 인해 공식 관저가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록펠러는 이미 워싱턴 D.C.에 안전한 개인 저택을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공식 관저에서는 거의 생활하지 않았고, 대신 수백만 달러 상당의 가구를 기증하여 후임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초기에는 개인 전용기인 걸프스트림을 이용했으나, 미국 비밀 경호국의 설득으로 공식 부통령 전용기인 에어 포스 투를 이용하게 되었다.[94]

1976년 대선을 앞두고 포드는 당내 보수파, 특히 로널드 레이건 전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강력한 도전에 직면했다. 온건파로 분류되던 록펠러는 보수 진영으로부터 비판의 대상이었고, 이는 포드의 재선 가도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록펠러는 1975년 11월, 포드에게 다음 선거에서 부통령 후보로 나서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95][96] 포드는 이를 받아들였고, 1976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캔자스주 상원의원 밥 돌을 새로운 러닝메이트로 지명했다. 포드는 훗날 록펠러를 부통령 후보로 다시 지명하지 않은 결정을 자신의 정치 인생에서 "가장 큰 실수 중 하나"이자 "몇 안 되는 비겁한 행동 중 하나"였다고 회고했다.[97][98]

부통령 후보직에서는 물러났지만, 록펠러는 1976년 대선에서 포드를 위해 적극적으로 선거 운동을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뉴욕주 빙햄턴 유세 중 야유하는 청중들을 향해 가운데 손가락을 치켜세우는 듯한 모습이 사진에 찍혀 큰 화제가 되었다.[99] 당시 록펠러 측근이었던 말콤 윌슨은 그가 손가락을 잘못 사용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100] 이 사건은 '록펠러 제스처'로 불리며 그의 부통령 재임 시절을 상징하는 유명한 일화로 남게 되었다.[99] 포드가 지미 카터에게 패배하면서 록펠러 역시 1977년 1월 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부통령직을 역임한 마지막 주지사 출신 인물이다.

4. 결혼과 자녀

1930년 6월 23일 록펠러는 메리 "토드" 클라크와 결혼하여 5명의 자녀를 두었다.[112][113][114][115][116][117]

결혼 생활 동안 록펠러는 여러 차례 외도를 했으며, 1950년대 후반에는 자신보다 18세 연하인 마거리타 "해피" 머피와 깊은 관계를 맺었다. 1961년 초, 록펠러는 첫 부인 메리와 이혼하고 해피와 결혼하기로 결정했으며, 1962년 이혼이 확정되었다. 1963년 5월 4일, 그는 해피와 재혼하여 두 아들, 넬슨 주니어와 마크를 두었다.[118][119][120][121][122][123] 록펠러는 1979년 사망할 때까지 해피와의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그의 첫 부인 메리는 남편의 외도에 분개했으며, 이는 이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127] 록펠러는 결혼 초기에 메리에게 공적인 이미지와 자녀들을 위해 별거 상태로 결혼 생활을 유지하자고 설득하기도 했다.[127]

록펠러의 이혼과 재혼은 당시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으며, 특히 1964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얻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된다.

록펠러는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총 5남 2녀, 일곱 자녀를 두었으며, 이는 아버지 존 D. 록펠러 주니어의 자녀들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이다.

'''넬슨 록펠러의 자녀'''
이름생년배우자자녀 수비고
메리 토드헌터 클라크와의 자녀
로드먼 클라크 록펠러1932–20001. 바바라 앤 올슨
2. 알렉산드라 폰 메츨러
4사업가, 자선가
앤 클라크 록펠러1934년 출생[112]1. 로버트 라플린 피어슨 (1952–1966)[113]
2. 라이오넬 R. 코스테 주니어 (이혼)
3. T. 조지 해리스 (1979–)[114]
3작가, 펀드 오브 더 포 디렉션스 설립자 겸 회장
스티븐 클라크 록펠러1936년 출생1. 앤 마리 라스무센
2. 바바라 올슨 베르토
3. 바바라 뷰도인
4 (스티븐 C. 록펠러 주니어 포함)교수, 자선가
마이클 클라크 록펠러1938–1961미혼-메리의 쌍둥이 형제. 1961년 뉴기니에서 실종, 익사 추정.[115]
메리 록펠러1938년 출생1. 윌리엄 J. 스트로브리지 주니어[116]
2. 토마스 B. 모건 (1974–)[116]
3마이클의 쌍둥이 자매. 심리치료사, 작가.[117]
마거리타 "해피" 피틀러와의 자녀
넬슨 올드리치 록펠러 주니어1964년 출생에이미 K. 테일러[118]2 (배럿, 마고)[119]사업가, 다트머스 대학교 졸업.[120]
마크 피틀러 록펠러1967년 출생르네 앤 아니스코 (이혼)[121]3사업가, 금융가, 젠트리 파머.[121] 히스토릭 허드슨 밸리 회장 역임.[122] 사우스 포크 로지 공동 소유.[123]



록펠러는 첫 부인과 함께 뉴욕 5번가 810번지 아파트의 최상층 세 개 층에 거주했다. 이혼 후 메리는 이 아파트의 최상층 두 개 층을 계속 사용했다.[124] 록펠러는 812번가 5번지의 한 층을 추가로 매입하여 확장했으며, 두 공간은 계단으로 연결되었다.[125] 넬슨과 해피 부부는 812번가 5번지 입구를 사용했고, 첫 부인 메리는 810번가 5번지 입구를 사용했다.[126]

한편, 해피 록펠러가 전 남편 제임스 슬레이터 머피와의 사이에서 낳은 막내딸 말린다 피틀러 머피(1960년 출생)가 실제로는 넬슨 록펠러의 딸이라는 추측이 그의 측근들 사이에서 제기되기도 했다. 록펠러의 측근이었던 켄 릴런드는 일기에서 말린다를 언급하며 '계부'라는 단어에 따옴표를 사용했고, 건축가 월리 해리슨의 아내 엘렌은 이것이 록펠러 측근들 사이의 공공연한 비밀이었다고 주장했다.[127]

5. 사망

1979년 1월 26일, 넬슨 록펠러는 부통령직에서 물러난 지 2년 6일 만에 심근경색 합병증으로 70세의 나이에 사망했다.[129][130] 초기 보도에서는 그가 록펠러 센터의 사무실에서 사망했다고 잘못 알려졌으나[131][132], 실제로는 자신이 소유한 맨해튼의 13 웨스트 54번가 타운하우스에서 심장마비를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다.[133]

사망 당시 록펠러는 25세의 보좌관이었던 메건 마샥과 함께 있었다.[134] 록펠러가 심장마비를 일으키자 마샥은 자신의 친구이자 뉴스 기자인 폰치타 피어스에게 먼저 연락했고, 피어스가 구급차를 부른 것은 심장마비 발생 약 한 시간 뒤였다.[135] 일부 소스에서는 불륜 관계 발각을 두려워한 애인이 신고를 지연시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언급하기도 한다.

이 사건은 록펠러와 마샥 간의 불륜 관계에 대한 광범위한 추측을 불러일으켰다.[138][140][139] 마샥은 록펠러가 부통령으로 재직할 때부터 그를 위해 일했으며, 부통령 임기 후에도 계속 고용되어 록펠러로부터 맨해튼 타운하우스 근처 콘도 구매 및 가구 구입 자금을 지원받았다.[140] 록펠러의 오랜 측근 조셉 E. 페르시코는 PBS 다큐멘터리에서 "그[록펠러]가 그를 위해 일하는 젊은 여성과 의심할 여지 없이 친밀한 상황에서 단 둘이 있었고, 그날 저녁 심장마비로 사망했다는 것이 알려졌다."고 말했다.[141] 록펠러의 네 자녀는 자체 조사를 벌인 후, 아버지를 살릴 수 없었고 관련된 모든 사람이 책임감 있게 행동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마샥과 록펠러 가족 모두 사망 당시 상황에 대해 공개적으로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으며[142], 가족은 부검에도 동의하지 않았다.[143] 록펠러 사망 후, 조니 카슨과 같은 코미디언들이 '메건 마샥'이라는 이름만 언급해도 웃음을 자아낼 정도로 이 사건은 대중적인 가십거리가 되었다.[140] ''뉴욕'' 매거진은 "넬슨은 절정에 달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는 죽어가고 있었다"고 풍자하기도 했다.[144]

록펠러의 유해는 뉴욕주 하츠데일에 있는 펀클리프 묘지에서 화장되었다. 1979년 1월 29일, 가족과 가까운 친구들이 모여 뉴욕주 슬리피 할로우의 록펠러 가문 사유 묘지에 그의 유해를 안치했다.[136] 2월 2일 어퍼 맨해튼의 리버사이드 교회에서 추도식이 열렸으며, 이 자리에는 지미 카터 대통령과 전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를 포함해 2,200명이 참석했다.[137]

6. 유산

그의 약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은 록펠러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가까운 친구이자 전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는 "그가 얼마나 위대한 대통령이었을까요! 어떻게 그가 우리를 고상하게 했을까요! 힘과 인류애, 결단력과 비전의 얼마나 특별한 조합이었을까요!"라고 말했다. 반면 보수적 논객 윌리엄 러셔는 "그는 사람들의 분노를 자극했다. 그것은 부유함, 기회주의, 오만함이 뒤섞인 조합이었다... 확실히 다른 오만한 정치인, 다른 부유한 정치인, 다른 기회주의적인 정치인들도 있지만, 이 한 인물에게서 이 모든 것의 멋진 조합을 어디서 찾을 수 있겠는가?"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록펠러가 대통령이 되는 데 그의 세대 누구보다 더 적합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개인적인 부를 이용한 대통령직 도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세금 및 지출 정책은 이후 작은 정부를 강조하게 될 공화당보다는 민주당과 더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록펠러의 주요 업적으로는 뉴욕 주립 대학교(SUNY) 시스템의 대규모 확장이 꼽힌다. 그러나 뉴욕 주지사 재임 중 과도한 지출로 인해 임기 말 뉴욕주를 거의 파산 상태로 몰고 갔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는 자신의 부와 권력을 과시하는 것을 즐겼지만, 동시에 개인 재산을 바탕으로 국가에 봉사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일할 필요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특권적인 지위를 국가를 위해 사용하고자 했다.

록펠러는 미국 최초의 주립 예술 위원회를 창설했으며, 이는 국립 예술 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모델이 되었다. 또한 새러토가 공연 예술 센터(Saratoga Performing Arts Center)가 위치한 새러토가 스파 주립공원 건설을 감독했다.[38] 1966년에는 허드슨 리버 학파 화가 프레더릭 에드윈 처치의 저택인 올라나 주립 역사 유적지를 주립 역사 유적지로 지정하는 법안을 지지하여 통과시켰다.[39]

록펠러, 1975년 2월 Commission on Critical Choices for Americans 회의에서 연설


1973년, 록펠러는 전 델라웨어 주지사 러셀 W. 피터슨과 함께 '미국인을 위한 중대 선택 위원회'(Commission on Critical Choices for Americans)를 설립했다.[43] 이는 15년 전 그가 이끌었던 특별 연구 프로젝트와 유사한 민간 연구 프로젝트로, 국내외 정책을 다루었다.[44] 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선출된 저명한 미국인 42명으로 구성된 초당파 그룹이었으며, 상하원 다수당 및 소수당 대표도 포함되었다. 록펠러는 위원회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1973년 12월 뉴욕 주지사직을 사임했고,[44] 부통령 취임 후에도 위원장직을 유지하다 1975년 2월 28일까지 재임했다.[45]

록펠러는 문제 해결에 있어 학제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특정 이념에 얽매이지 않았다. 로버트 코너리와 제럴드 벤자민은 저서 『뉴욕의 록펠러: 주 의회의 행정 권력』에서 그를 "엄격하게 자유주의적이거나 엄격하게 보수주의적인 노선을 따르기보다는, 문제를 정의하고 입법화에 충분한 지지를 모을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데 훨씬 더 관심이 있는 실용적인 문제 해결사"로 평가했다. 그의 정책은 자유주의나 보수주의 이념을 일관되게 따르지 않았으며, 초기 재정 정책은 보수적이었으나 후기에는 사회 프로그램과 환경 문제에 대해 각각 보수적, 진보적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101]

이러한 성향 때문에 록펠러는 배리 골드워터로널드 레이건과 같은 공화당 내 보수주의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역사학자 제프리 카바서비스는 록펠러를 전임 공화당 주지사이자 재정 보수주의를 표방한 온건파 토머스 E. 듀이보다 훨씬 많은 예산을 사용한 '큰 정부' 지지자로 묘사했다.[102][103] 그는 주의 사회 기반 시설 확장, 교육 지출 증대(특히 뉴욕 주립대 확장), 환경 문제에 대한 주 정부의 역할 강화를 추진했다. 외교적으로는 국제 연합(UN) 참여와 대외 원조를 지지했으며, 공산주의에 맞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록펠러의 정책에 반발한 일부 보수주의자들은 뉴욕 보수당을 창당하여 뉴욕 자유당에 맞서는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104]

록펠러 재임 기간에 대한 가장 큰 비판은 그가 너무 많은 사업을 너무 빨리 추진하여 주 부채를 급증시켰고, 이는 1975년 뉴욕의 재정 위기에 일조했다는 점이다.[105] 그는 도시 개발 공사(Urban Development Corporation)와 같은 약 230개의 공익 기관을 설립했는데, 이 기관들은 채권 발행에 대한 주민 투표 요건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으며, 이 채권들은 주 정부 직접 발행 채권보다 높은 이자를 부담해야 했다. 주 예산은 1959-1960 회계연도 20.4억달러에서 1973-1974 회계연도 88억달러로 급증했다. 코너리와 벤자민에 따르면, 록펠러는 15년 재임 동안 8번의 증세를 단행했으며,[106] 그의 임기 동안 뉴욕주의 세금 부담은 다른 어떤 주보다 높아졌고, 특히 개인 납세자의 부담이 커졌다.[107]

넬슨 록펠러는 1945년부터 1953년까지, 그리고 1956년부터 1958년까지 록펠러 센터 주식회사의 회장을 역임하며 물리적 확장을 이끌었다. 1940년에는 네 형제와 함께 자선 단체인 록펠러 형제 기금(Rockefeller Brothers Fund)을 설립하여 1940년부터 1975년,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이사로, 1956년에는 회장으로 활동했다. 1946년에는 미국 국제 경제 사회 개발 협회(America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IA)를 설립하여 개발도상국의 문맹 퇴치, 질병 및 빈곤 극복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 및 관리 전문 지식과 장비를 보급했다.[108]

록펠러는 1932년부터 1979년까지 뉴욕 현대 미술관(MoMA) 이사로 활동했으며, 재무(1935-1939), 회장(1939-1941, 1946-1953)직을 역임했다. 1933년에는 새로 건설되는 록펠러 센터의 미술 작품 선정 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30 록펠러 플라자 정문 맞은편 벽에 앙리 마티스파블로 피카소의 벽화를 원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대신 어머니가 좋아했던 멕시코 화가 디에고 리베라에게 "새로운 개척지(New Frontiers)"를 주제로 벽화를 의뢰했다. 리베라가 제출한 스케치에는 익명의 남성이 중앙에 있었지만, 완성된 벽화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모습이 포함되어 큰 논란을 일으켰다.[109] 록펠러 센터 이사회의 반대와 록펠러의 수정 요청에도 리베라가 이를 거부하자, 1933년 5월 22일 작품 대금을 지불하고 벽화를 가려버렸다. 록펠러는 이 프레스코화를 MoMA에 기증하려 했으나 거절당했고,[110] 결국 1934년 초 철거되었다. 리베라는 이를 "문화적 파괴 행위"라고 비난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에이브러햄 링컨을 포함한 호세 마리아 세르트의 벽화가 있다. 이 사건은 영화 ''크래들 윌 락''과 ''프리다''에서 다루어졌다.

록펠러는 현대 미술뿐만 아니라 비서구 미술의 저명한 수집가였다. 주지사 시절 뉴욕주는 올버니의 새로운 엠파이어 스테이트 플라자를 위해 주요 미술품들을 구입했다. 그는 어머니의 뒤를 이어 MoMA 회장직을 수행했고, 카이컷 저택의 지하실을 갤러리로 개조했으며, 정원에 조각품들을 배치하는 것을 즐겼다. 뉴욕 주립대 시스템 건설 당시에는 평생 친구인 로이 노이버거와 협력하여 필립 존슨이 설계한 노이버거 미술관을 뉴욕 주립 대학교 퍼처스 캠퍼스에 건립했다. 또한 콜롬비아 보고타의 시티뱅크를 위해 화가 산티아고 마르티네스 델가도에게 캔버스 벽화를 의뢰했으나, 작가는 작품 완성 중 사망했다.

멕시코 방문 이후 콜럼버스 이전 시대 및 현대 멕시코 미술품 수집에 관심을 갖게 된 그는 아프리카 및 태평양 섬의 전통 미술품까지 수집 범위를 넓혔다. 1954년에는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및 초기 아시아, 유럽의 토착 미술을 전문으로 하는 원시 미술관(Museum of Primitive Art)을 설립하여 자신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운영했다. 1956년에는 프레데릭 헌팅턴 더글러스가 이 박물관의 아메리카 인디언 부문 명예 큐레이터로 임명되었다.[111] 박물관은 1957년 뉴욕시 54번가 서쪽 15번지에서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1969년 록펠러는 소장품 전체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기증하여 '마이클 C. 록펠러 윙'의 기초가 되었다. 그의 아들 마이클 록펠러는 인류학자였으나 뉴기니 탐험 중 실종되었다.

1977년에는 자신의 소장품 복제품을 제작, 판매하는 '넬슨 록펠러 컬렉션 주식회사'(Nelson Rockefeller Collection, Inc., NRC)를 설립했다. 그는 카탈로그 서문에서 "이 아름다운 물건들과 함께 사는 기쁨"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는 동기를 밝혔다. 1978년에는 알프레드 A. 크노프 출판사에서 그의 원시 미술 소장품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 사진작가 리 볼틴과 편집자 폴 안빈더의 작업에 감명받아 고급 미술 서적 출판을 목표로 '넬슨 록펠러 출판사 주식회사'(Nelson Rockefeller Publications, Inc.)를 공동 설립했으나, 1년도 채 안 되어 록펠러가 사망하면서 이 회사는 '허드슨 힐스 프레스 주식회사'(Hudson Hills Press, Inc.)로 이어졌다.

'''주요 수상 및 명예'''

상훈명수여 기관/국가연도/비고
넬슨 A. 록펠러상퍼체이스 칼리지 예술대학매년 예술 또는 환경 분야 기여자 5명에게 수여
넬슨 A. 록펠러 주지사 공공 서비스 우수성상주 공공 행정 아카데미
넬슨 A. 록펠러 공공 서비스 특별상다트머스 대학교 넬슨 A. 록펠러 사회과학 센터
넬슨 A. 록펠러상미국 공공 행정 학회, 엠파이어 스테이트 수도권 지부뉴욕주 정부 경력을 통해 공공 정책, 프로그램 개발, 문제 해결에 기여한 인물
넬슨 A. 록펠러상뉴욕 수질 환경 협회효과적인 환경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한 선출직 공무원 (인구 25만 이상 도시, 주, 국가)
넬슨 A. 록펠러 공공 서비스상록펠러 정부 연구소1988–1994
대통령 자유 훈장미국1977
유니버설 브라더후드 메달미국 유대교 신학대학1961
찰스 에반스 휴즈 메달기독교인 및 유대교 전국 회의1965
보존 공로상전국 야생 생물 연맹/시어스 로벅 재단1966
금메달상국립 사회 과학 연구소1967 (5명의 록펠러 형제 공동 수상)
공로상미국 건축가 협회, 뉴욕 지부1968
공로상뉴욕 주립 대학교1973
네 개의 자유 재단상1974
공로 훈장칠레1945
국립 남십자 훈장브라질1946
아즈텍 독수리 훈장멕시코1949
루벤 다리오 훈장니카라과1953
안데스 메달안데스 대학교, 콜롬비아1958
예술 문학 훈장프랑스1958
레오폴 2세 훈장벨기에1959
라몬 막사이사이 상필리핀1959
오라녜나사우 훈장네덜란드1960
프라타마본 기사 대십자 훈장, 백상 훈장태국1960
레지옹 도뇌르, 코망되르프랑스1960
단네브로그 훈장, 1등급 사령관덴마크1960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이탈리아1962
백장미 훈장, 1등급 사령관핀란드1962
농업 공로상브라질 농촌 연맹1963
찬란한 별 훈장중화민국1969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 상폴란드1972



'''기념 시설'''

넬슨 A. 록펠러 공원은 뉴욕 시의 배터리 파크 시티 내에 있는 공원이다.


다음 기관 및 시설은 넬슨 A. 록펠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 넬슨 A. 록펠러 공공 정책 및 사회 과학 센터, 다트머스 대학교[145]
  • 넬슨 A. 록펠러 대학 센터, 빙햄턴 대학교, 뉴욕[146]
  • 넬슨 A. 록펠러 주지사 엠파이어 스테이트 플라자[147]
  • 넬슨 A. 록펠러 공원, 배터리 파크 시티, 뉴욕 시[148]
  • 뉴욕 브루클린의 P.S. 121 (넬슨 A. 록펠러 초등학교)[149]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Nelson A. Rockefeller | American Experience https://www.pbs.org/[...]
[2] 서적 Rule and Ru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 뉴스 NELSON W. ALDRICH, EX-SENATOR, DEAD: Leader in Congress for Thirty Years Stricken with Apoplexy in Fifth Avenue Home 1915-04-17
[4] 서적 The United States Executive Branch: A Biographical Directory of Heads of State and Cabinet Official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3
[5] 서적 America's Kingdom: Mythmaking on the Saudi Oil Frontier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20-05-05
[6] 서적 The Real Rockefeller: The Story of the Rise, Decline and Resurgence of the Presidential Aspirations of Nelson Rockefeller https://books.google[...] Atheneum 1964
[7] 뉴스 For Nearly a Generation Nelson Rockefeller Held the Reins of New York State https://www.nytimes.[...] 2019-10-19
[8] 간행물 Nelson A. Rockefeller's Office of Inter-American Affairs (1940–1946) and Record Group 229 http://hahr.dukejour[...] 2006
[9] 서적 1960
[10] 잡지 Time 1942-06-01
[11] 간행물 Brazilian cinema, Hollywood and the Good Neighbourhood Policy in the 1930s: a background for Carmen Miranda http://www.ceart.ude[...] 2014-11-22
[12] 서적 The Films of Orson Wel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1
[1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es into existence, Oct. 24, 1945 http://www.politico.[...] 2017-01-19
[14] 서적 1996
[15] 서적 1960
[16] 서적 1996
[17] 서적 Hemispheric Giants: The Misunderstood History of U.S.-Brazilian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1-01-16
[18] 웹사이트 Holocaust Era Assets: Records of the Office of Inter-American Affair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5-03-18
[19] 서적 The Life of Nelson A. Rockefeller: Worlds to Conquer, 1908-1958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6
[20] 서적 1960
[21] 서적 2014
[22] 웹사이트 Nelson A. Rockefeller https://nacla.org/ar[...] North American Congress on Latin America 2017-01-20
[23] 서적 1996
[24] 서적 1996
[25] 서적 1996
[26] 서적 1996
[27] 서적 1996
[28] 서적 1996
[29] 서적 1996
[30] 서적 Prospect for America: The Rockefeller Panel Reports https://books.google[...] Doubleday 1961
[31] 서적 1996
[32] 서적 2005
[33] 뉴스 Big Spender https://www.newyorke[...] 2019-10-19
[34] 웹사이트 Nelson Aldrich Rockefeller: A Biographical Chronology https://rockarch.org[...] 2019-10-18
[35] 웹사이트 Statistics of the Congressional Election of November 4 1958 http://clerk.house.g[...] 2019-10-18
[36] 뉴스 A Zestful Rockefeller Steers 'Choices' Study https://www.nytimes.[...] 2019-10-19
[37] 뉴스 Repealing the abortion law, May 1972 Chapter 397 https://archive.toda[...] 2012-01-14
[38] 서적 Rockefeller in Retrospect: The Governor's New York Legacy Nelson A. Rockefeller Institute of Govt.
[39] 서적 Frederic Church's Olana on the Hudson The Olana Partnership/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40] 간행물 Is the Rock Still Solid? https://web.archive.[...] 1970-10-19
[41] 서적 City in the sky: the rise and fall of the World Trade Center Macmillan
[42]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43] 웹사이트 Portage native Russell Peterson dies at 94 http://www.wiscnews.[...] Wiscnews.com 2012-01-14
[44] 뉴스 Nelson Rockefeller, 41st Vice President, N.Y. Ex-Governor, Art Connoisseur https://www.washingt[...] 2019-02-13
[45] 웹사이트 Rockefeller Quits as Chairman of Critical Choices Commission https://www.nytimes.[...] 2019-02-13
[46] 간행물 The New York State Preservationist NYS Office of Parks, Recreation and Historic Preservation 2006-12-31 # Fall/Winter 2006으로 추정
[47]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48] 서적 The Adirondack Park: A Political History Knopf
[49]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50]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51] 서적 # Harvnb는 일반적으로 서적이나 논문을 가리킴
[52] 웹사이트 List of pre-Furman executions in New York http://users.bestweb[...] 2008-03-25
[53] 웹사이트 Regional Studies Northeast http://users.bestweb[...] 2008-04-22
[54] 서적 The Electric Chair: An Unnatural American History
[55] 서적 # Harvnb는 일반적으로 서적이나 논문을 가리킴
[56] 뉴스 The Somber Shadows of Attica http://cityroom.blog[...] 2012-11-10
[57] 서적 Governing New York State: The Rockefeller Years
[58] 뉴스 Postscripts to the Attica Story https://www.nytimes.[...] 2012-11-10
[59] 서적 # Harvnb는 일반적으로 서적이나 논문을 가리킴
[60] 웹사이트 SUNY Buffalo School of Management History https://web.archive.[...] University at Buffalo 2017-10-04
[61] 웹사이트 UB at a Glance https://web.archive.[...] Buffalo.edu 2017-10-04
[62]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63] 서적 Confidence Game: How a Hedge Fund Manager Called Wall Street's Bluff Wiley & Sons
[64]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65]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66] 서적 Foreign Aid as Foreign Policy: The Alliance for Progress in Latin America Routledge 2007-04-23
[67] 서적 # Harvnb는 일반적으로 서적이나 논문을 가리킴
[68] 문서 Public Papers of Nelson A. Rockefeller, Fifty-third Governor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of New York
[69] 뉴스 MEDICARE FOR ALL IS ASKED BY JAVITS 1970-04-15
[70] 서적 Unity, Freedom and Peace: A Blueprint for Tomorrow Random House
[71] 문서 Universal Health Insurance Is the Wave of the Future 1971
[72] 서적 On His Own Terms: A Life of Nelson Rockefeller
[73] 서적 Before the Storm: Barry Goldwater and the Unmaking of the American Consensus
[74] 서적 On His Own Terms: A Life of Nelson Rockefeller
[75]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Liberal Republicans: From 1952 to the Present
[76] 문서
[77] 문서
[78] 백과사전 Nelson Aldrich Rockefeller (vice president of United States) https://www.britanni[...] 2013-11-06
[79] 웹사이트 Nelson Aldrich Rockefeller, 41st Vice President (1974-1977)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2012-11-07
[80] 서적 The greatest comeback: How Richard Nixon rose from defeat to create the new majority https://archive.org/[...] Crown Forum
[81] 뉴스 Humphrey Reports Rockefeller Rejected Role as Running Mate The New York Times 1976-05-02
[82] 웹사이트 George H. W. Bush https://www.whitehou[...] 2014-12-29
[83] 서적 A Time to Heal: The Autobiography of Gerald R. Ford New York
[84] 문서
[85] 서적 Palace Politics: An Inside Account of the Ford Years New York
[86] 웹사이트 Rockefeller sworn in as vice president, Dec. 19, 1974 https://www.politico[...] 2017-12-19
[87] 서적 It Seemed Like Nothing Happened
[88] 웹사이트 Time magazine article https://web.archive.[...] 2007-11-30
[89] 웹사이트 TO CONFIRM THE NOMINATION OF NELSON A. ROCKEFELLER TO BE ... -- Senate Vote #1092 -- Dec 10, 1974 https://www.govtrack[...]
[90] 뉴스 Rockefeller conflicts raise debate https://news.google.[...] Anchorage Daily News 1974-11-26
[91] 웹사이트 CQ Almanac Online Edition https://library.cqpr[...]
[92] 서적 Vice-Presidential Power: Advice and influence in the White Hous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3] 문서
[94] 서적 Standing Next to History: An Agent's Life Inside the Secret Service Thomas Dunne Books
[95] 뉴스 Excerpts From Rockefeller Conference Explaining His Withdrawal; 'Are You Going to Stop' Interests of the Peop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5-11-07
[96] 뉴스 Mutual Decision: Vice President's Letter Gives No Reason for his Withdrawal The New York Times 1975-11-04
[97] 문서 Remarks of Gerald R. Ford, Nelson A. Rockefeller Public Service Award Dinner 1991-05-22
[98] 서적 Gerald Ford and the Challenges of the 1970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99] 뉴스 Is 'Giving The Finger' Getting Out Of Hand? https://www.npr.org/[...] NPR 2010-08-26
[100] 서적 From Rocky to Pataki: Character and Caricatures in New York Politics
[101] 문서
[102] 문서
[103] 문서 The Last Liberal Republican President The Niskanen Center 1971-10-27
[104] 문서
[105] 문서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웹사이트 Rockefeller Controversy http://www.diego-riv[...] Diego Rivera Prints 2007-10-02
[110] 논문
[111] 웹사이트 Frederic Huntington Douglas https://www.cambridg[...]
[112] 웹사이트 A lovely lady https://cuffernmanor[...] 2024-09-04
[113] 웹사이트 1966 Press Photo Robert Pierson divorces Ann Rockefeller Pierson in New York https://historicimag[...] 2024-09-04
[114] 웹사이트 https://www.nytimes.[...]
[115] 웹사이트 What Really Happened to Michael Rockefeller https://www.smithson[...] 2024-09-04
[116] 웹사이트 https://www.nytimes.[...]
[117] 웹사이트 Author and L.M.S.W. Mary Rockefeller Morgan Discusses the Grieving Process and the Strength of the Twin Bond https://www.thirteen[...] 2024-09-04
[118] 웹사이트 Nelson Rockefeller Jr. Sells Central Park West Pad for $7.38M https://observer.com[...] 2024-09-04
[119] 웹사이트 https://1986.dartmou[...]
[120] 웹사이트 Rockefeller's great-grandson selling luxe N.J. home for $3.4M (PHOTOS) https://www.nj.com/e[...] 2024-09-04
[121] 웹사이트 EWG Farm Subsidy Database https://farm.ewg.org[...] 2024-09-04
[122] 웹사이트 Exclusive Mark and Renee Rockefeller file for divorce https://pagesix.com/[...] 2024-09-04
[123] 웹사이트 https://hawtinjorgen[...]
[124] 웹사이트 The Upper East Side Book: Fifth Avenue: 810 Fifth Avenue http://www.thecityre[...] Thecityreview.com 2012-01-14
[125] 서적 Luxury apartment houses of Manhattan: an illustrated history Dover Publications
[126] 뉴스 Presidential Politics Yields to Privacy At Apartments of 3 Candidates Here; Where Privacy Eclipses Politics The New York Times 1968-03-18
[127] 서적 On His Own Terms: A Life of Nelson Rockefelle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14-10-21
[128] 서적 Edgar Cayce: an American prophet Riverhead Books
[129] 웹사이트 New York Governor and United States Vice President Nelson Aldrich Rockefeller dies after a heart attack in 1979 https://www.nydailyn[...] 2015-01-25
[130] 웹사이트 The story of Nelson Rockefeller's death and the spin that kept the (sexy) truth out of the headlines https://www.nydailyn[...] 2017-08-14
[131] 뉴스 On This Day In History, January 26: Dream of Presidency Never Achieved https://brooklyneagl[...] 2012-01-26
[132] 웹사이트 CBS News report http://tvnews.vander[...] 1979-02-08
[133] 뉴스 New Details Are Reported on How Rockefeller Died https://www.nytimes.[...] 1979-01-29
[134] 웹사이트 Rockefellers have known prominence, tragedy https://www.lohud.co[...]
[135] 뉴스 Marshack Friend Makes Statement on Rockefeller https://www.nytimes.[...] 1979-02-11
[136] 뉴스 About Pocantico Hills: Advance Man Stays on the Job 1979-01-30
[137] 뉴스 Memorial Expresses Rockefeller Spirit https://www.nytimes.[...] 1979-02-03
[138] 잡지 Big Spender https://www.newyorke[...] 2014-10-06
[139] 웹사이트 Megan Marshack: the Ambitious Aide Whose Silence Deepens the Mystery of Rockefeller's Death http://people.com/ar[...] 1979-02-26
[140] 뉴스 The story of Nelson Rockefeller's death and the spin that kept the (sexy) truth out of the headlines http://www.nydailyne[...] 2017-08-14
[141] 논문 Bulk of Rockefeller's Estate Is Left to Wife; Museums Get Large Gifts http://tvnews.vander[...] The New York Times 1979-02-10
[142] 뉴스 4 Rockefeller Children Say All At Hand Did Their Best The New York Times 1979-02-15
[143] 서적 The Book of Lists 2 The People's Almanac
[144] 잡지 Rocks Off! https://nymag.com/ne[...] 2022-11-21
[14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enter {{!}} Nelson A. Rockefeller Center for Public Policy http://rockefeller.d[...] 2015-08-14
[146] 웹사이트 Binghamton University - Hinman History https://www.binghamt[...] 2017-06-06
[147] 뉴스 Rockefeller's big dream realized https://www.baltimor[...] 1997-09-29
[148] 웹사이트 Nelson A. Rockefeller Park https://nymag.com/li[...]
[149] 웹사이트 Welcome - P.S. 121 Nelson A. Rockefeller - K121 - New 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http://schools.nyc.g[...]
[150] 문서 A common thread of Serv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